The Port 포구
독특한 기교를 가진 화가 한상익
북한에서 무소속으로 발행되는 「통일신보」라는 주간신문이 있다고 합니다.
주로 북한 당국을 대변하는 역할을 하는데 2014년에 ‘독특한 기교를 가진 화가’라는 제목으로 한상익에 대한 기사가 올라옵니다.
북한 당국에서 화가 한상익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그 내용이 궁금합니다만 제게는(남한사람) 해당 영역으로 인터넷 접근이 차단되어 있어 통일신보 기사를 열람할 수가 없습니다.
다만 당시에 남한의 인터넷 신문 ‘통일뉴스’에서 북한의 ‘통일신보’의 기사 내용을 소개하는 기사가 있어 그 소개 기사로 북한 통일신보 기사의 내용을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2014년 12월 29일자 통일뉴스의 기사를 올려봅니다.
(민족간 전투가 묘사된 내용 몇 줄은 중략으로 처리했습니다. 남과 북의 여러 자료들을 미술사적인 순수한 호기심으로 바라보고 있지만 같은 민족 사람으로서 느끼기에 민망하고 적대적인 내용들이 곳곳에 보이는 건 다시 한번 느끼지만 참으로 부정하고픈 슬픈 현실입니다.)
월북 유화 작가 한상익
'독특한 기교를 가진 화가' <통일신보>
한상익. 북한의 대표적인 유화 작가로 알려진 그는 누구인가. 북한 무소속 대변지 주간 <통일신보>가 27일 대표적인 월북 유화 작가인 한상익을 조명했다. 1917년 9월 함경남도 함주군에서 태어난 한상익은 19살이 되던 해 함흥공립고등보통학교를
졸업했다. 졸업 후 대구사범학교 강습과에 재학 중이던 한상익은 겨울방학 동안 일본으로 건너갔다. 도쿄미술학교 유화과 유학 당시 그는 도서관에서 서유럽 중세미술작품과 동양미술전시관에 전시된 중세미술작품들을
연구했다. 이를 두고 신보는 "색채를 어떻게 잘 다루어 나갈
것인가 하는데 많은 사색을 돌리었다"며 "자연의
색채, 인물의 색채, 화면에서의 색채조화, 색채대조는 그에게 있어서 목마른 사람이 물을 찾는 것과 같았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한상익은 태평양전쟁이 한창이던 당시, 총동원령의 하나로
실시되던 도쿄미술학교 군사훈련을 피해갈 수 없었다. 당시 일본군사교관이 한상익의 덥수룩한 머리 모양을 지적하며 욕을 퍼붓자, 이에 한상익은 교관을 때리고 체포될 것을 우려해 귀국했다. 1945년 8.15 해방을 맞은 한상익은 11월 함흥으로 월북, 1947년 8월 첫 국가미술전람회에 유화화 '단강도', '수확전날', '풍년송' 등 3점을 출품했다. 해당 작품은 성진제강소 노동자들과 함흥벌 농민들의 모습을 그린 작품으로, "새 조국 건설에서 발휘하고 있는 헌신적인 투쟁성과들을 예술적으로 일반화한 작품"이라고 평가받았다. 특히, '단강도'는
문학예술상 2등을 받았으며, 이후 김일성 주석 표창장을
수여받았다. 한국전쟁 당시 한상익은 평안북도 룡천군에 전시학교를 차린 평양미술대학 교원으로 활동했으며, 전후 대학전람회에 유화 '고지의 이야기'를 출품했다. '고지의
이야기'는 북한 미술사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문학예술상 1등을 수여받고, 김일성 주석이 그림을 보고 높이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
중략 ---------------- 한상익은 제1차 사회주의국가조형예술전람회에 '새 땅에 씨를 뿌리고' 유화 작품을 출품했으며, 동유럽, 중국 등에서 순회전시회를 가졌다. 1960년대 한상익은 다양한 풍경화 유화작품을 선보였으며, 1997년 사망했다. 신보는 한상익을 두고, "인상적인 색채표현으로 유화기교를 발전시키는 데 적지 않은 기여를 하였다"고 평가했다. 통일뉴스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0319 |
|
포구 (28cm x 17cm) 한상익 캔버스에 유채 |
이번에 올리는 작품은 제가 무척 아끼는 바다 풍경의 작은 그림으로 제목은 ‘포구’ 입니다.
아주 작은 크기의 캔버스에 바다풍경이 섬세하고 색감있게 그려져 있습니다.
정성스럽게 미묘한 색으로 그려진 배경 앞에는 배들이 아기자기 모여 있습니다.
한 붓으로 빠르게 그려낸 돛대와 돛에서는 대가만의 대범한 표현이 느껴집니다.
작은 화면임에도 멀리 보이는 풍경은 섬세한 붓질의 색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수채화의 맑은 느낌과 유화의 깊은 색감이 동시에 느껴지는 것은 우리식의 밝고 선명하고 섬세한 유화를
목표로 평생 아름다운 색채를 추구한 그의 노력 때문일 것입니다
제가 아는 작품들 중에서 가장 수작이라 부르고 싶은 이 작품은 한상익 작가 본인도 아끼는 마음에 쉽게 내놓지
못했다는 당시 상황을 전해들을 수 있었습니다.
아주 작은 바다 풍경… 한상익의 ‘포구’입니다.
포구 (28cm x 17cm) 한상익 캔버스에 유채 |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