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egeumgang 해금강

The Love Story

A love story is one of indispensable concerns when you look into the life of an artist.
Han Sang-Ik who devoted his lifetime to painting had an interesting love story that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world, and I'm going to introduce it in this article.
First of all, it is known that for him, his artistic goal was more important than his personal life. It is even said that he gave up on the happiness that he should have enjoyed as a human being in order to focus on his orientation and aim as an artist.

"I will find the truly beautiful and elegant colours from the protean colours of nature, and make them my own ---syncopation-- I will not accept any personal concerns until I achieve this goal."
-An excerpt from the biographical dictionary of artists in Chosun(-North Korea)

He neglected his personal life and pursued only the artistic goals with this kind of mind since his youth, and in 1970 he married at the age of 53 which was quite late for marriage. It was when the conflict between Han Sang-Ik and the Chosun art world was at its peak because of his pursuit of new form of expression and the creative personality, and as a result, he and his wife were demoted to a province the following year, and their 14 years of hard labour life (1971~1984) began.

Although he was a labourer during this period, with great support from his wife, he was able to study and explore passionately night and day, and he created many works in the various places of the city, and stayed in Mount Kumgang for few months every year creating many works.
   
Even though he was more interested in his artistic goals than his personal life, an unexpected  "romance of the art world" became known, and as it happened before he married, on the section titled 'Jung On-Nyeo' of the biographical dictionary of artists in Chosun, it is described as follows.

"Jung On-Nyeo was not interested in her personal life focusing solely on her artistic practice. Of course, there were many people who concerned about her and she was also agitated sometimes, but she couldn't help herself. At one time, she packed a bag and went to Wonsan to see Han Sang-Ik, but Han Sang-Ik, himself loved painting more than women, and they understood each other for their love for painting and decided to end their relationship.” 
-An excerpt from the biographical dictionary of artists in Chosun(-North Korea)

This is the official record that Jung On-Nyeo went to see Han Sang-Ik, and other rumors are that she had loved HanSang-Ik for about 20 years, and when he married to someone else, she gave up on him and declared her celibacy.

Jung On-Nyeo studied art in Japan at the same time when Han Sang-Ik was studying art there, and also she was the second-best winner of Korean first beauty contest called <Miss Chosun >.  After returning to Korea, she worked as a newspaper reporter and an art teacher, and also her painting skill was good, and she was a symbol of a new woman who was considered to have both intelligence and beauty at the time.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sation in 1945), the south and north of the      Korean peninsula coexisted but it was a chaotic age due to the ideological differences. Jung On-Nyeo who was married and living in the South at the time was involved in the art movement in the Northern part of Korea at the time. She traveled to the North with her colleagues thinking that she could return to the South in a week when her daughter was four years old. Like the sad stories of many separated families of our nation today, she was never able to see her family in the South again in her lifetime due to the military boderline drawn in a flash between the North and South. After the division of North and South Korea, she gained recognition for her active practice such as painting a portrait of the leader Kim Il-Sung in North Korea, and she is said to have missed her family and had been single for rest of her life. (1920-2011).

Han Sang-Ik and Jung On-Nyeo seemed to have known each other since their youth when they were studying in Japan. According to a retrospective of his collegue, Kim Heong-Soo, Han Sang-Ik asked him for help with an issue of a studio contract with Jung On-Nyeo's Japanese landlord.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she knew about the sense of justice and gentle nature of Han Sang-Ik, as seen in many anecdotes, better than anyone else.

Han Sang-Ik who valued his artistic goals more than his personal life had such a romance with Jung On-Nyeo who was regarded as a new woman at that time, and it is quite a surprising twist that such a private story was documented in the official art history unprecedentedly.

The intriguing contrast between 'Ueno's beggar', who lived years with a single outfit whilst studying abroad and a beautiful new woman who won a beauty contest seems to be enough to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world.

Perhaps that is why Han Sang-Ik's work sometimes reminds me of Jung On-Nyeo when I look at it, and when I look at Jung On-Nyeo's work, I sometimes find myself looking for any clues related to Han Sang-Ik. I don't think I am the only one who is like that. In fact, there are academic experts and collectors mentioning the similarities between Han Sang-Ik's painting expression and technique and Jun On-Nyeo's. Personally, I would like to imagine that they often painted together looking at the same scene in the same space and time with same sensibility.

Han Sang-Ik had to go through struggles in order to pursue his will of painting what he wanted to paint and Jung On-Nyeo had to go through the deep sorrow of seperation from family for the rest of her life.... The feelings of these two great famous North Korean painters who could not be together were left with imagination of viewers.


[Haegeumgang]

Haegeumgang (53cm x 32cm)  Han Sang-ik  Oil on Canvas

The painting I am posting is the "Haegeumgang". In terms of the geographical sections of Mount Geumgang, one of the greatest mountains in our nation, it is classified as the 'Inner Geumgang (Naegeumgang)' in the west and 'Outer Geumgang (Oegeumgang) in the east. And the scenic sea that leads to the coast of the East Sea is called 'Haegeumgang' which means the 'ocean version of Geumgang' because it looks similar to Mount Geumgang. I would like to go there one day because there are many beautiful places near by such as Samilpo and Chongsuckjeong.

The painting shows small and large rocky islands and people enjoying boating and fishing in a calm sea. The greenish colour of the water makes you feel as if you were in an amusement park by the river. Looking at the couple enjoying boating, it seems like a great place to go on a date.

This painting feels peaceful and static as a whole, but if you look at it closely, you can see that even the small rocky islands are depicted in a three-dimensional with different colours and brush strokes at different angles, and the water that passes by is vividly depicted with delicate lines. The closer you look at it, the more you can see the charming details depicted, and that is a great attractive characteristic of Han Sang-Ik's work.

While using the impressionist techniques in detail, the overall form is representational and realistic in Han Sang-Ik's painting. I think it is the distinct idiom of his work that he pursued the artistic individuality of expression whilst being bound to be limited to the restriction by the North Korean art world.

In this painting, I take a closer look at his artistic energy which he had to integrate into the inner space of small forms such as rocky islands, current of water and trees.






러브스토리    

한 예술가의 인생을 알아보는데 있어 빠질수 없는 관심사항으로 ‘러브스토리’가 있습니다.
평생 예술가의 삶을 산 한상익에게도 세상 사람들의 이목을 끌었던 흥미로운 러브스토리가 있어서 이번 글에서 소개하려 합니다.
우선, 그에게 있어서는 본인의 개인사보다 예술적인 목표가 더 중요했다고 합니다. 심지어 ‘미술가로서의 지향을 실현하고자 인간으로서 향유하여야할 행복도 단념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변화무쌍한 자연의 색채, 그속에서 진정으로 아름답고 고상한 색채를 찾아내어 나의것으로 만들리라 ---중략--  이 목표를 달성할때까지 나에게서 그 어떤 개인적인 문제란 있을수 없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발췌-

젊어서부터 이런 마음가짐으로 개인적인 일은 미루고 예술적 목표만 쫓던 그는 1970년 늦은 나이 53세에 결혼을 하게됩니다.  그 시기의 한상익은 표현의 새로운 형식과 창작적 개성을 추구하는 문제로 화단과의 갈등이 최고조 였던 때이며, 그 결과 이듬해 지방으로 좌천되면서 한상익 부부의 14년간(1971~1984)의 힘든 노동자의 생활이 시작 됩니다.

이 기간동안 노동자의 신분임에도 밤낮으로 불타는 열정으로 사색과 탐구를 하였고, 도시 구석구석에서 많은 작품들을 창작하고,1년에도 몇 달씩 금강산에 들어가서 왕성한 창작을 할수 있었던 것에는 아내의 내조가 큰 역할을 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처럼 예술적인 목표에 비해  개인사에는 관심이 덜했던 그였지만, 의외의 ‘예술계의 스캔들’이 알려지게 되는데, 그가 결혼하기 이전에 있었던 일로서 훗날 조선력대미술가편람의 ‘정온녀’편에는 다음과 같이 기술이 됩니다.

“정온녀는 오직 창작에만 몰두하면서 자신의 개인 생활에 관심을 돌리지 못하였다. 물론 자기 일신상 문제에 대하여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았고 자신도 마음의 동요가 있었으나 뜻대로 되지 못했다. 한때 짐을 꾸려가지고 행여나 하여 한상익을 찾아 원산으로 갔었으나 한상익 자체도 녀성보다 그림을 더 사랑 했던지라 사이좋게 리해하고 헤여지고 말았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발췌-

정온녀가 한상익을 찾아 갔다는 내용의 공식적인 기록이며 그외에 들리는 소문에 정온녀는 20여년간 한상익을 사모(사랑)하였고 그가 결혼을 하면서 포기하고 독신을 선언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정온녀는 한상익과 같은 시기 일본에서 미술을 전공한 일본 유학파 출신으로 특이한 이력을 갖고 있는데 바로 한국 최초의 미인대회 <미스 조선>의 1등 없는 2등 수상자입니다. 귀국후 신문사 기자,미술교사로 있으면서 그림 실력도 좋았고, 당시에 지성과 미모를 갖추었다고 평가되는 신여성의 상징이었습니다.

해방후 한반도의 남과 북은 공존했으나 이념의 차이로 혼란스러웠던 시기, 북한쪽 예술운동에 참여하던 정온녀는 남쪽에서 결혼해서 살던중 딸이 4살이던 해에 일주일이면 다시 돌아올수 있다고 생각하며 일행들과 함께 북쪽으로 넘어 가게 됩니다. 오늘날 우리 민족의 많은 이산가족들의 슬픈사연이 그러하듯 순식간에 그어진 남북의 군사적 경계선으로 그녀는 평생 다시는 남쪽에 있는 가족을 볼수 없게 되어 버립니다. 남북 분단후에 북한에서 김일성 주석의 초상화를 그리며 왕성한 작품 활동으로 인정을 받던 그녀는 그후에도 평생(1920~2011)을 독신으로 살며 남쪽에 두고온 가족을 그리워 한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상익과 정온녀는 젊은 일본유학 시절부터 충분히 서로 알고 지낸듯 합니다. 후배 김흥수 화백의 회고에 따르면 정온녀의 일본인 집주인과의 화실 계약 문제를 한상익이 김화백에게 도와 주기를 부탁한것으로 전해집니다. 여러 일화에서 알수있는 한상익의 정의감이나 온화한 성품을 정온녀가 누구보다 더 잘 알고 있었을것으로 추측 해볼수 있습니다. 

사생활보다 예술적 목표를 더 중시했고 또 자주 그런 모습을 보여주었던  한상익이 그 당시 신여성으로 대표되는 정온녀와의 스캔들을 갖게되고, 그런 사적인 이야기가 전례없이 공식적인 미술사에까지 기록이 되어 있는 것은 대단히 놀라운 반전이 아닌가 싶습니다.

유학시절 일년 내내 옷 한벌로 지내는 ‘우에노의 거지’ 와 미인대회에 수상할 정도로 아름다운 용모의 신여성이라는 흥미로운 대비는 세상의 관심을 받기에 충분한 소재인 듯 합니다.

그렇게 의식을 해서인지 한상익의 작품을 보다 보면 한번씩 정온녀를 생각하게 되고 정온녀의  작품을 보면서 한상익의 실마리를 찾아보게 되는 것은 꼭 저만의 생각은 아닌 듯 합니다. 실제로 정온녀의 그림에서 한상익의 표현과 기법의 유사함을 말하는 학계 전문가나 컬렉터들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혹 같은 시공간에서 같은 배경을 보며 같은 감성으로 그린 그림은 아닌지 상상을 해보곤 합니다.     

자기 그림을 그리기 위해 인생의 굴곡도 자처한 한상익과 가족과의 생이별이라는 큰 슬픔을 겪은 정온녀, 인연이 되지 못한 북한의 이 두 유명한 화가가 느꼈을 감정들은 그들의 작품을 보는 우리 감상자의 상상으로 남게 되었습니다.


[해금강]

해금강 (53cm x 32cm)  한상익 캔버스에 유채

이번에 올리는 그림의 제목은 ‘해금강’ 입니다. 민족의 명산 금강산을 영역으로 구분할 때 서쪽편은 내금강, 동쪽은 외금강으로 불리고, 동해안쪽으로 이어지는 경치 좋은 바다는 금강산을 닮았다고 하여 ‘바다 금강’이란 의미인 ‘해금강’이라 불려집니다. 삼일포, 총석정 같은 유명한 절경들이 곳곳에 있어서 언젠가 꼭 가보고 싶은 곳입니다. 

그림을 보면  잔잔한 바다에 작고 큰 바위섬들과 뱃놀이와 낚시를 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보입니다. 가까이에 강물이 있는걸까요? 초록빛이 감도는 물색깔은 강가의 유원지에 온듯한 느낌을 갖게 합니다. 남녀가 뱃놀이 하는 모습을 보니 데이트 하기에도 좋은 장소인 것 같습니다.

전체적으로 평화롭고 정적인 느낌의 그림이지만 가까이에서 자세히 보면 작은 바위섬 마저도 다른 색과 다른 각도의 붓터치로 입체감 있게 인상적으로 표현 되어 있고 부딪혀 지나가는 물살도 섬세한 선으로 생동감 있게 표현되어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가까이 볼수록 아기자기한 표현을 볼 수 있는건 한상익 작품의 큰 매력입니다.

세부적으로 인상주의 기법을 사용하면서도 전체적인 형태가 분명하고 사실에 충실해 보이는 것은 표현의 개성을 추구하지만 북한 화단의 가이드라인에 제한 받을 수밖에 없는 한상익 그림의 큰 특징이 아닌가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바위섬, 물살, 나무 이 작은 형태의 내면으로 집약 시킬수 밖에 없었던 그의 예술적인 에너지를 가까이 들여다 보며 감상해 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Recent Academic Paper On Han Sang-ik 한상익에 관한 최근 논문 소개

Songdowon 송도원

The Port 포구